함께나눌이야기:)

우리민족 최대의 명절인 설날

알 수 없는 사용자 2016. 2. 1. 20:19

 

우리 민족 최대의 명절인 설날

 

우리 최대의 명절 설날이 다가오고 있습니다.

새해의 첫날인 ​1월 1일은 새해의 첫날이지만

우리나라는 음력으로 지내기 때문에 음력 1월 1일을 설 명절로 지내고 있습니다.

설 명절을 기다리며 설날의 유래와 풍속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.

설날은 우리 민족 최대의 명절이며

본래 설날은 조상 숭배와 효 사상에 기반을 두고 있는데,

먼저 간 조상신과 자손이 함께 하는 아주 신성한시간이라는 의미를 지닌다고 합니다.

 

◆ 설날의 유래 ◆

설날이 언제부터 우리 민족의 최대 명절로 여겨지게 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알 수 있다.

그러나 설날을 명절로 삼기 위해서는 우선 역법이 제정되어야만 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

설날의 유래는 역법의 제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.

우리나라가 나름대로의 역법을 가지고 있었음은 중국인들도 진작 인정하고 있었다.

< 삼국지 >에 이미 부여 족이 역법을 사용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고,

신라 문무왕 대에는 중국에서 역술을 익혀 와 조력하였다는 기록이 있다.

이를 미루어 보더라도 리민족은 단순한 중국 역법의 모방이 아니라

자생적인 민속력이나 자연력을 가졌을 가능성은 얼마든지 짐작할 수 있다.

 고려시대에는 설과 정월 대보름, 삼짇날, 팔공회, 한식, 단오, 추석, 중구, 동지를 9대 명절로 삼았으며,

조선시대에는 설날과 한식, 단오, 추석을 4대 명절이라 하였으니,

이미 이 시대에는 설이 오늘날과 같이 우리민족의 중요한 명절로 확고히 자리 잡았음을 알 수 있다.

 

 

◆ 설날의 풍속 ◆.

설날의 세시풍속으로는 차례, 세배, 설빔, 덕담, 문안비, 설 그림, 복조리걸기,

야광 귀 쫓기, 청 참, 윷놀이, 널뛰기, 머리카락 태우기 등 그 종류가 상당히 다양하다.


 

 

▶ 설날 차례

정월 초하룻날 아침 일찍이 각 가정에서는 대청마루나 큰 방에서 제사를 지내는데,

제상 뒤에는 병풍을 둘러치고 제상에는 설음식을 갖추어놓는다.

조상의 신주, 곧 지방은 병풍에 붙이거나 위패일 경우에는 제사상 위에 세워 놓고 차례를 지낸다.

 

 

 

▶ 세배

설날 차례를 마친 뒤 조부모, 부모에게 절하고 새해 인사를 올리며, 가족끼리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절하는데,

이를 세배(歲拜)라 한다.

배가 끝나면 차례를 지낸 설음식으로 아침 식사를 마친 뒤에 일가 친척과 이웃 어른들을 찾아가서 세배를 드린다.

세배하러 온 사람이 어른일 때에는 술과 음식을 내어놓는 것이 관례이나,

아이들에게는 술을 주지 않고 세뱃돈과 떡, 과일 등을 준다.

 

 

▶ 설빔

정월 초하룻날 아침에는 남녀노소 구분 없이 모두 일찍 일어나 세수하고 새 옷을 입는데,

이것을 설빔(歲粧)이라고 한다.

이 설빔은 대보름까지 입는 것이 보통이다. < 열양세시기 > 원일조에 따르면

남녀 노소가 새옷을 입는 것을 " 세비음(歲庇陰)(설빔) "이라 한다 하였다.

 

 

 

 

◆ 설날의 음식 ◆

설날의 음식을 통틀어 " 설음식 " 또는 " 세찬 "이라 하고 설날의 술을 " 설 술 "이라고 한다.

설음식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은 떡국이다.

설날의 떡국은 지금은 쇠고기나 닭고기로도 끓이지만 옛날에는 꿩 고기로 많이 하였다.

설날에 흰 떡을 끓여 먹는 것은 고대의 태양숭배 신앙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는데,

설날은 새해의 첫날이므로 밝음의 표시로 흰색의 떡을 사용한 것이며,

떡국의 떡을 둥글게 하는 것은 태양의 둥근 것을 상형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.

그리고 설날에 마시는 술은 데우지 않고 찬 술을 마시는데.

< 경도잡지 >에는 " 술을 데우지 않는 것은 봄을 맞이하는 뜻이 들어 있는 것이다. "라고 기록하고 있다.

 

 

지금까지 설의 유래와 풍습에 대하여 알아봤는데

설 명절의 유래와 풍속에 대해 알고 명절을 보내면 더 뜻깊은 설을 보내시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.

이번 설 명절때에도 가족과 함께 따뜻한 명절 보내시기 바라며

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.!